수도 배관 수격 현상 방지 장치 종류 및 비용(견적) 확인
병동 특정 호실에서 수도를 틀때마다 천장이나 벽 속에 있는 배관에서 떨리고, 쿵광 소리가 지속되어 있어서 알아보니 수압차 때문에 생기는 소리라고 하더라고요. 이런 현상을 수격 현상(작용)이라네요. 암튼 때때로 배관 터질것 같은 큰 소리에 불안해서 조치를 해야할것 같아요. 따로 배관일을 봐 주시는 거래처가 있기는 하지만 형식상 여러군데 견적을 골라서 보고해야해서 알아보았어요.
*수격작용: 관속을 가득히 흐르는 물을 밸브로 갑작스레 차단하면 밸브 바로 앞의 관속 압력이 급상승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이러한 현상은 장치의 파손/고장 원인이 된다.-출처:나무위키
수도 배관의 수격 현상(워터해머, water hammer)을 안정화시키는 비용은 다음 요소들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수격 방지 장치 종류
공기 챔버(Air Chamber):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함. 설치비 포함 약 10만~30만 원.
수격 방지기(Water Hammer Arrestor): 가정용 기준 개당 5만~15만 원, 상업용·산업용은 수십만 원~수백만 원.
압력 완화 밸브(Pressure Reducing Valve): 10만~50만 원 이상 (제품 및 설치비 포함).
스마트 제어 밸브: 대형 빌딩, 공장 등에서 사용하며, 수백만 원 이상.
2. 시공 범위 및 난이도
단일 세대 가정용: 수도배관 접근이 쉬우면 설치비 저렴 (전체 비용 10만~50만 원 수준).
아파트, 다세대 주택, 상업시설: 배관 구조 복잡할 경우 100만~300만 원 이상도 가능.
전면 개보수 필요 시: 낡은 배관 교체나 압력 시스템 전면 개선이 필요한 경우 수백만 원~천만 원 이상도 가능.
3. 추가 비용
배관 점검 비용: 약 5만~10만 원
자재 교체 비용 (노후 배관 포함): 수십만 원~수백만 원
공임: 시공사에 따라 다르며 5만~20만 원 이상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신청 자격, 신청기간, 모집인원, 신청방법 (3) | 2025.05.28 |
---|---|
제21대 대통령선거 안산시 단원구, 상록구 사전투표소 위치 (1) | 2025.05.23 |
병실 침대 바퀴 교체하기 (0) | 2025.05.02 |
디지털 키폰 견적 얼마나 나오는지? (0) | 2025.05.02 |
구글애드센스 지급정보 등록 절차(KB국민은행 외화통장 예시)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