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요즘 뉴스에 자주 나오는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일반 법정과 무슨 차이가 있는건가요?

by 수리부엉이7 2025. 4. 23.
728x90
반응형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일반 법정과 무슨 차이가 있는건가요?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일반 법정(또는 일반 대법원 재판부)과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가 있어요.

 


🔹 일반 대법원 재판부
구성: 대법관 3인으로 구성된 **소부(小部)**에서 심리.
기능: 대부분의 상고사건을 처리함.
심리 방식: 서면 중심, 판결도 서면으로 진행.
대상 사건: 통상적인 사건들, 즉 법적 쟁점이 비교적 명확하거나 새로운 판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 대법원 전원합의체
구성: **대법원장 포함 대법관 전원(현재 13명)**이 참여.
소집 요건: 아래 중 하나 이상일 경우에 소집됨:
기존 판례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중요한 헌법적, 사회적, 법리적 쟁점이 있는 경우
각 소부 간 판단이 엇갈리는 경우(법률 해석 충돌)
기능: 법리 통일, 판례 변경, 중요 쟁점에 대한 최종 판단
심리 방식: 공개 변론이 열릴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훨씬 더 신중하고 논의가 깊게 이루어짐.

 

◎예시
어떤 사건이 기존 판례와 반대되는 판결을 요구한다면? → 전원합의체로 넘어갑니다.

사회적으로 큰 반향이 있는 사건(예: 낙태죄 위헌 여부 등) → 전원합의체에서 다루는 게 일반적이에요.

 

 

◆최근 전원합의체 판례나 사례

 

최근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례 중에서 특히 주목받은 사건이나 주제

✅ 1. 임금피크제 무효 판결 (2022.5.26. 선고)
핵심 내용: 정당한 이유 없이 나이만을 기준으로 임금을 깎는 임금피크제는 무효라는 판결.
이유: 고령자고용법 위반 가능성이 있고, 합리적 이유 없이 임금이 삭감되면 연령차별에 해당함.
의의: 기업들이 운영하던 많은 임금피크제가 불법적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시사. 향후 고용 관행에 큰 영향.

 


✅ 2. 낙태죄 위헌 결정 이후 형사 판결 취소 (2021.4.8. 선고)
배경: 헌법재판소가 2019년에 낙태죄 조항을 위헌 결정함.
전원합의체 판단: 위헌 결정 전이라도 낙태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경우, 기존 판결도 재심 사유로 볼 수 있다고 봄.
의의: 위헌 결정 이후에도 형벌 효력이 소급적으로 무효화될 수 있음을 보여줌.

 


✅ 3. 간통죄 위헌 이후 관련 유죄 판결 취소 (2015.7.16. 선고)
판례 변경: 대법원이 기존 판례를 뒤집고, 간통죄 유죄 판결을 파기.
의의: 사생활의 자유 보장과 형법의 시대 변화 반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