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산재환자 상급병실 이용시 병실료 산재로 인정되는 경우 산재환자 상급병실 이용시 병실료 산재인정 여부 산재환자가 상급병실 사용하고 산재로 처리 가능한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저희 병원은 산재환자 입원시 심사삭감의 우려로 4인실 이상 일반병실을 이용하게 하고 있는데요, 자보환자 처럼 진료상 필요한 경우나 일반병실이 없는 경우 등 특정한 경우에 한하여 상급병실 사용을 인정해 주는게 산재환자에게도 적용이 되는지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질문1. 산재환자가 본인 희망에 따라 1~3인실 사용시 입원료 본인부담은 어떻게 산정해야 하는지? 질문2. 부득이한 사정으로 상급병실 사용시 입원료 본인부담은 어떻게 산정해야 하는지? '국민신문고' (근로복지공단본부 재활계획부) 답변 정리 상급병실 사용료는 비급여대상으로 요양급여의 범위에서 제외되는 사항이나, 다음에 해.. 2024. 3. 4.
소독의무대상시설 소독횟수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법률 시행규칙 제36조제4항'에 의거하여 다중 이용시설은 정해진 기준에 따라 소독을 실시해야 합니다. 소독을 실시해야하는 시설의 종류는 총 13개 이며, 소독 횟수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소독시행 주기: 연 9회 이상 소독 4~9월 1회 이상 소독/1개월 10~3월 1회 이상 소독/2개월 1.[공중위생관리법]에 따른 숙박업소(객실수 20실 이상), [관광진흥법]에 따른 관광숙박업소 2.식품접객업소(위탁급식영업 제외)(연면적 300제곱미터 이상) 3.고속버스, 시내버스, 시외버스, 전세버스, 장의자동차, 항공법에 의한 항공기, 해운법에 의한 여객선 및 항만법에 의한 대합실과 (연면적 300제곱 미터 이상의 대합실에 한함), 도시철도법에 의한 여객운송철도차량 .. 2024. 3. 2.
신경과 병무용(병사용)진단서 구비서류 신경과 병무용(병사용)진단서 구비서류 목록 입니다. 질병명 구비서류 목록 병무용진단서 필요(O), 불필요(X) 치료기록지 등 기타서류 입원기록지는 입원당시 시행한 각종 검사결과가 포함되어야 함. MRI의 경우 정상이면, 필름원본 없어도 됨. NCS(신경전도)/EMG(근전도)는 raw data까지 지참해야함. 재검자의 경우 뇌파에 이상이 있을 경우는 원본 raw data 첨부 비디오 촬영은 다음 요건을 만족시킬 것. -전신촬영으로 본인 확인 가능할 것 -밝은 곳에서 촬영 -증상시작 10초전에서 증상종료 10초후로 편집(증상 중간에 편집된 것은 불인정함) 경련성 질환 O 의무기록지, MRI, 뇌파검사결과지, 약물농도검사(혈액검사) 근질환 O 의무기록지, NCS(신경전도)/EMG(근전도) 뇌졸중 O 의무기록지.. 2024. 3. 1.
지체장애인 등록을 위한 장애등록심사 구비서류(상하지 관절장애) 상하지 관절장애로 인한 지체장애인 등록을 위한 장애등록심사 구비서류 상하지 관절장애로 인한 지체장애인 등록을 위한 장애등록심사 구비서류에는 등이 있으며 이를 동사무소 복지과에 제출해야 합니다.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에는 장애부위(관절) 및 장애정도, 장애 원인 상병, 장애 발생 시기에 대한 소견만 기재되고 장애등급은 기재되지 않습니다. -소견서는 정해진 서식에 장애가 있는 관절의 관절운동범위를 기재해야 합니다. -검사결과지로는 기본적으로 x-ray사진(필요시 근전도 검사 결과)을 제출하고,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의 경우 골스캔 검사를 포함한 이영양성 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제출합니다. 또한, 현재 관절각도를 검사한 기록 및 기 시행한 검사결과지도 함께 제출합니다. -진료기록지는 장애등록.. 2024. 3. 1.
외과 수술코드 N0210 조갑 부분절제술 수술코드N0234 표피낭 절제술 수술코드N0304 근위경골 교정절골술 수술코드 N0311 골편(골극) 절제술(제거술) 수술코드N0521 쇄골골절 비관혈적 정복 코드N0531 늑골골절 비관혈적 정복 코드N0643 요,척골 원위부 골절 도수정복술 코드N0693 슬관절 자가연골이식술(다발성 미세천공술), 연골연마술 다발성천공술 수술코드N0703 주관절(팔꿈치) 활액막 절제술 수술코드N0710 슬관절 관절내 낭종 제거술(활액막 절제술) 수술코드N0718 슬관절 활액막 절제술(복잡) 수술코드N0733 관절고정술(주관절 완관절 족관절) 수술코드N0802 변형도수교정술(선천성내번족 변형교정술) 코드- 클럽 풋(CLUB FOOT): 캐스트기술료 및 재료대 포함N0803 사경교정술 코드N082.. 2024. 2. 29.
부목(반깁스) 또는 캐스트(통깁스) 재시행 시 비용 부목(반깁스) 또는 캐스트(통깁스) 재시행 비용(건강보험적용여부) 부목이나 통깁스를 시행받고난 이후 본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특정한 이유(부종 심해짐이나 빠짐, 물 들어감, 훼손, 불결 등)로 다시 시행해야 하는 경우는 건강보험적용이 가능합니다. 가. 골절 등의 고정을 목적으로 통깁스를 시행하였으나, 환부의 부종 감소, 수술 등 불가피한 사유가 발생하여 담당의사의 판단에 따라 통깁스 교체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하다. 다만 부목이나 통깁스(캐스트)를 환자가 고의로 파손하는 경우, 의사의 지시에 따라 착용하지 않아 분실한 경우, 환자가 개인적인 사유로 교체를 원하는 경우 등 환자의 귀책이 명백한 사유로 다시 시행하는 부목 또는 캐스트로 인해 발생하는 행위 및 치료재료의 요양급여 비용은 환.. 2024. 2. 28.
지체장애인 등록을 위한 장애등록심사 구비서류(상하지 관절장애) 상하지 관절장애로 인한 지체장애인 등록을 위한 장애등록심사 구비서류 상하지 관절장애로 인한 지체장애인 등록을 위한 장애등록심사 신청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에서 등의 구비서류를 발급받아 동사무소나 구청, 시청 복지과 또는 국민연금공단에 제출해야 합니다.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에는 장애부위(관절) 및 장애정도, 장애 원인 상병, 장애 발생 시기에 대한 소견만 기재되고 장애등급은 기재되지 않습니다. -소견서는 정해진 서식에 장애가 있는 관절의 관절운동범위를 기재해야 합니다. 상지 관절장애 -한 팔의 모든 3대 관절의 운동범위가 각각 25%% 이상 감소된 사람 -한 팔의 3대 관절 중 한 관절의 운동범위가 50% 이상 감소된 사람 -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관절총운동범위가 50% 이상 감소된 사람 -한 손의 둘째손.. 2024. 2. 28.
환자가 타 병원에서 처방 받은 주사제 투여 시 심사청구하는 방법 전원 오는 환자 퇴원약에 수액주사제 처방 상급병원에서 전원의뢰를 받았습니다. 전원의뢰서에는 특정 주사(항생제)를 다음 외래시까지 계속 투여해야 한다고 해서,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주사제가 아니어서 전원이 어렵다고 답신을 드렸는데, 그러면 주사제를 퇴원약으로 처방할 테니 환자에게 주사제를 받아서 본원에서 투여해 주는 방식을 제안하셔서 그렇게 하기로 하고 전원을 받았습니다. 타원에서 처방받은 주사제 투여시 주사 수기료 청구 방법 국민신문고에 문의 환자 전원을 받았지만 타원처방 주사제를 투여하고 주사 행위료를 어떻게 청구해야 하는지 문제가 생겼습니다. 수가책을 아무리 뒤져봐도 마땅한 설명이 없기도 하고 흔한 상황이 아니라서 루틴을 만들기 위해서 국민신문고(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민원을 넣게 되었죠. 건강보험심사.. 2024. 2. 27.
병원 방문 없이 내 진료 및 처방 정보 알아보는 방법 병원 방문 없이 진료 및 처방 정보 열람하기 병원 방문 없이 진료 및 처방 정복 검색하기를 찾아보게 된 이유는 요즘은 많이 줄었지만 가끔 전화로 본인의 진료일자나 처방내역을 문의하시는 분들이 있어서 입니다. 지방에서 올라와야 한다거나 도저히 시간을 내어 방문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전화 주셨다고는 하시는데 민감정보(의료정보)를 전화로 알려드리기는 힘든게 사실이라 양해를 구하고 다른 방식으로 확인하시는걸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병원 방문 없이 진료 및 처방 정보 검색 방법 본인의 진료 및 투약정보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알아볼 수 있는데요, 로그인을 하고 마이페이지로 들어가서 좌측에 보이는 메뉴에서 '진료 및 '투약정보'를 선택합니다. '진료 및 투약정보'를 클릭하면 최근 1년간 의료기관 및 약국을 .. 2024. 2. 26.
728x90
반응형